번호 | 제목 | 저자 | 파일 |
---|---|---|---|
18 | 탈-가족 서사와 애도의 가능성-세월호 관련 소설을 중심으로 | 김영삼 | |
17 | 순수한 자유에 도달하는 길- 이청준의 1980년대 작품을 중심으로 | 노태훈 | |
16 | 미감아(未感兒), 도래하지 않은 미래의 폭력 | 오현석 | |
15 | 선우휘 소설에 나타난 ‘아시아․태평양 전쟁’ 인식- 「불꽃」과 「묵시」를 중심으로 | 이명원 | |
14 | 김수영 시에 나타난 ‘집’과 ‘길’의 현장성 | 이승규 | |
13 | 1950년대 김수영과 김춘수 시의 헤테로토피아 | 김지율 | |
12 | 제주도 최초의 잡지 『신생』 연구 | 김동윤 | |
11 | 해방기 신정언과 김동인의 활약상과 그 행방- 해방과 야담(작)가들① | 공임순 | |
10 | 중국에서 윤봉길 사건의 주제의식 변천 연구 | 박혜진(제1저자),박설매(교신저자) | |
9 | 한국 모더니즘 소설의 형성과 서양 고전음악의 의미- 디지털 인문학 방법론을 통한 탐색 | 권은 | |
8 | 일제강점기 남해지역 소년문예운동과 아동문학 연구 | 박경수 | |
7 | 1920~30년대 궈모뤄(郭沫若) 작품의 번역과 그 의미 | 곽윤청 | |
6 | 부산 기장군 토박이 해녀의 전통성과 지역성- 조선후기를 중심으로 | 황경숙 | |
5 | 영남『소학』의 기풍 - 유휘문의『소학후편』연구 | 박순남 | |
4 | 沈彦光의 屈原 楚辭에 대한 이해 - 「次離騷經」을 중심으로 | 장종오 | |
3 | 피란수도기 부산의 한국화단, 담론을 위한 신문 기사 | 정종효 | |
2 | 신무용과 부산 | 박소윤 | |
1 | 한국전쟁기 피란수도 부산과 전시음악사회 | 남영희 |
목록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