번호 | 제목 | 저자 | 파일 |
---|---|---|---|
17 | "한국 포스트콜로니얼리즘 작품에 나타난 영웅주의 -「아리랑」, 「태백산맥」, 「무궁화 꽃이 피었습니다」를 중심으로" | 이해년 | |
16 | 전의 이씨 <절명사>에 나타난 죽음과 열의 문제 | 나정순 | |
15 | "최정희 소설에 나타난 '구원'의 양상-「흉가」, 「정적기」를 중심으로" | 황수남 | |
14 | 가사문학의 문체적 특성 -반복과 병렬의 문체 | 고순희 | |
13 | 교과서 소설의 상호적 읽기 -소설 읽기의 온라인 처리 책략 | 한귀은 | |
12 | 도깨비의 양가적 이미지 고찰 | 김영희 | |
11 | 온달 설화의 현대적 변용-최인훈작 「온달」과 「온달설화」의 대비적 고찰 | 정찬영 | |
10 | 채만식의 텍스트상호적 상상력 연구 | 황국명 | |
9 | 소비에트 카작스탄 한인문학과 희곡작가 한진(1931-1993)의 역할 | 김필영 | |
8 | 18세기 시조 연행 양상과 시조문학 | 조태흠 | |
7 | "구효서- 『비밀의 문』, 소멸과 생성의 초월과 몸" | 김정자 | |
6 | <소문록>에 나타난 애정 갈등과 가모권 다툼의 양상 | 전성운 | |
5 | 고려 속가에 미친 송사의 영향 연구 | 김쾌덕 | |
4 | 시점과 젠더공간 - 박경리ㆍ박완서ㆍ윤정모를 중심으로 | 정미숙 | |
3 | 『게우사』 연구의 몇 가지 문제에 대하여 | 김준형 | |
2 | <김대비 훈민가>의 말하기 방식과 가사문학적 효과 | 최규수 | |
1 | "식민 상황과 이태준 자전소설의 변모 양상-<고향>, <사상의 월야>를 중심으로" | 김도희 |
목록 |